탐구생활

AR 글래스, 영화 속 미래가 현실이 되었다

JOBIST 2022. 10. 25. 00:50
반응형

AR글라스는 투명한 렌즈 위에 증강현실(AR) 콘텐츠를 구현하는 안경 형태의 전자기기이다. 시야가 가려지는 가상현실(VR) 기기와는 달리 현실에 그래픽을 얹은 형태로 실생활 가운데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과거 공상과학영화로 보던 것이 기술진보로 인하여 이제 현실이 된 것이다. 

 

AR 글래스, 영화 속 미래가 현실이 되었다

우리가 즐겨 보는 SF 공상영화가 이미 현실 속으로 들어왔다. 「레디플레이어 원」이라는 영화는 VR(Virtual Reality)를 소재로 한다. VR기기는 가상의 현실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사실 VR기술의 적용은 메타버스의 활용으로 인해 예술, 교육, 건축 및 관광을 포함한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어 올해 2022년부터 2027년까지 2조 940억 8000만 달러에 이르는 엄청난 시장으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이미 많은 부분에서 메타버스를 활용하고 있다. 그런데 AR(Augmented Reality은 VR과는 다르다. 과거 현빈이 주연이었던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에서 소개했던 소재가 바로 그것이다.  VR이 가상현실에 로그인해서 들어가는 매게체라면, AR은 현실 속에 가상이 들어와 있는 상태 곧 증강 현실(혼합현실)의 개념인 것이다.  더 실제적인 예로는, 스마트폰을 통해 현실속에 숨어 있는 포켓몬을 찾거나, 수많은 SF영화에서 등장하는 허공 위에 떠 있는 스크린을 재멋대로 움직이는 그것이다. 따라서 AR은 VR과 달리 제한되지 않는 더 많은 영역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AR글래스 원리

기본적으로 안경 형태의 프레임을 가진 투시형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분된다. 핵심원리는 비디오 투시, 광학적 투시 두 가지 방식으로 분류된다. 비디오 투시 방식은 디지털 이미지를 안경에 투시되는 영상에 함께 랜더링 하여 환경을 구현하고, 광학적 투시 방법은 현실의 정보를 데이터 처리 없이 그대로 전달하여 디지털 이미지만 안경에 투시하면 된다. 기술적으로는 비디오 투시 방식은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으나 현실성을 높이기 위해 고해상도 영상에 대한 대용량 데이터 처리가 필요하다. 이는 높은 수준의 연산 및 그래픽 처리 성능을 요구하게 된다. 처리 성능이 부족하면 데이터 처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투시 영상에서 지연이 발생하는데 이는 사용자의 몰입을 방해하는 큰 단점으로 작용될 것이다. 그 때문에 광학적 투시 방식이 AR글라스에 더 적합한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출처 : 나무 위키)

 

기술적 한계와 발전 가능성(뉴로테크)

터치스크린, 마우스, 키보드 등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도구(포인터)를 대체할 만한 기술이 아직까지는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것이 주요 과제로 남아있다. 더불어 IT 전문매체 <더비지>에 따르면 업계 내에서 뇌-컴퓨터 인터페이서(BCI)가 이에 대한 해답이 될 것이라는 공감대가 커지고 있다고 한다. 이런 분위기 가운데 글로벌 소셜 미디어 스냅챗의 모기업인 스냅이 최근 뇌와 컴퓨터 과학기술을 결합한 뉴로테크(neurotech) 스타트업인 넥스트마인드를 인수한다고 발표했다. 넥스트마인드는 사람의 생각을 읽어 디지털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헤드셋을 개발했다.  생각만으로 비디오게임에서 총을 겨누거나 아이패드 잠금 화면을 해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영화 속 아이언맨이 이미 현실이라니 신기하기만 하다. 

 

AR글래스 사용 영역

시장 조상 기관 IDC는 2023년 기준으로 AR 헤드셋 출하량이 3190만 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1. 네비게이션 : AR을 쓰고 있는 상태에서 티맵이 보인다. 

2. 번역 

3. 레시피 

4. 뉴로테크 - 뇌인식 반영, 장애인

5. 시뮬레이션 - 부동산

6. 영상통화 / 홀로그램 

7. 유튜버 - 카메라 활용

8. 사무 - 덱스 활용 

 

AR글래스 종류(개발 중)

  Display CPU 주사율/ 화면 연결 사운드 카메라 특이사항 무게
Nreal Air FHD OLED 
(3840x1080)
Qualcomm APQ845 60Hz 201인치 유선 O O 스마트폰자체 79g
로키드
(중국)
HD OLED
(1920x1080)
Qualcomm APQ835 60Hz 120인치   O O   83g
앱손 320인치, 드론조정,  BT-30c(2019), BT-30E(2022) 개선 및 업그레이드 중
구글 스마트글라스, 실시간번역기능 개발중, 2020 노스(스마트글라스제조기업) 인수
삼성 덱스연동, 영상통화(홀로그램통화), 선글라스모드, AR시뮬레이션 기능
애플 홍체인식, 결제서비스, 손움직임 추적 터치 컨트롤러, 가격 2000~3000달러 예정 (출처 : 디지털투데이)

 

반응형